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도커
- autowired
- RDS
- phaser
- express
- JavaScript
- JSP
- PL/SQL
- Cookie
- node.js
- tiles.xml
- 알고리즘
- docker
- CSS
- Servlet
- Spring
- Ajax
- model1
- AWS
- 웹게임
- 암호화
- 비트코인
- 배포
- SQL
- jQuery
- 블록체인
- 웹소켓
- websocket
- HTML
- EC2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해시함수 (1)
記錄
#1 How do we ensure trust in communication in a trustless environment? A) With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비트코인 시스템을 자꾸 trustless 하다고 표현하는데 좀 이해가 가지 않는다. 기존의 은행 거래처럼 대면 거래거나 신원 확인을 한다거나 하는 기존의 시스템(신뢰가 가는)이 아니기 때문에 trustless라고 표현하는 것이라 이해하고 넘어간다. 아무튼 이런 비트코인 시스템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는 암호화된 해시 함수 덕분이다. 암호화된 해시 함수가 이토록 신뢰받을 수 있는 이유는 암호화된 해시 함수가 가지는 특성 때문이다. 기본적으로 해시 함수는 Avalanche effect를 가짐으로써 입력값의 변화로 출력값..
Block Chain/Fundamental
2018. 7. 26. 11:05